Domestic Journal, KCI

⁣19. 유선아, 이주영, 박정안, 임광석, 하석진, 이형석*, 김현욱*. 인체 건강에 미치는 미세플라스틱 영향에 관한 최근 동향.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. 39(4) 2024

⁣18. 이진용*, 차지혜, 김남주, 박정안. 미세플라스틱의 대수층 내 분포, 이동 및 예측 모델링에 대한 고찰. 지질학회지, 34(4), 2024.

⁣17. 김연화, 신예힘, 박정안, 임광석, 김현욱, 하석진*.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한 플라스틱 분해의 최근 연구 동향. 한국생물공학회지, 39(3), 69-77, 2024.

⁣16. 이주영, 박정안*. 수중 미세플라스틱의 레보플록사신 흡착특성 비교평가. 대한환경공학회지. 44(6):209-216, 2022.

⁣15. 양보람, 박정안, 남혜림, 정성목, 최재우, 박희등, 이상협*. UVC-LED기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수중 마이크로시스틴-LR, 이취미 물질, 자연유기물 분해. 대한환경공학회지. 39(5): 246-254, 2017

⁣14. 남아름, 박정안, 도태구, 최재우, 최웅수, 김경남, 윤성택, 이상협*. 아크릴계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수중 크롬(VI)제거. 대한환경공학회지. 39(3): 112-117, 2017

⁣13. 박정안, 강진규, 김재현, 김성배*. 토양 서식 미생물을 이용한 가축사체 매몰지 토양유래 용존 유기물 분해. 대한환경공학회지. 35(12): 861-866, 2013

⁣12. 최낙철, 최은주, 김봉주, 박정안, 김성배, 박천영*. 매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특성에 관한 연구.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지. 46(4): 345-350, 2013

⁣11. 박정안, 최낙철, 김성배*. 가축사체 매몰지 토양의 미생물 군집 분석. 대한환경공학회지. 35(7): 503-508, 2013

⁣10. 최낙철, 최은주, 김봉주, 박정안, 김성배, 박천영*. 가축 매몰지 침출수에 대한 수질 특성 및 호기성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. 대한지질공학회지. 23(1): 37-46, 2013

⁣9. 고진석, 김봉주, 최낙철, 김성배, 박정안, 박천영*. 전기비저항 탐사를 이용한 가축사체 매몰지 특성 분석. 대한지질공학회. 22(4): 409-416, 2013

⁣8. 박정안, 윤서영, 김성배*. 토양⦁지하수 환경에서 바이러스의 거동. 대한환경공학회지. 34(7): 504-515, 2012

⁣7. 박정안, 김재현, 이인, 김성배*. 확률적 정량모델을 이용한 토양에서의 바이러스 저감 평가. 대한환경공학회지. 33(7): 544-551, 2011

⁣6. 박정안, 이창구, 강진규, 김성배*. 층상이중수산화물에 의한 인공지하수내의 박테리오파지 T7 제거. 대한환경공학회지. 33(6): 426-431, 2011

⁣5. 박성직, 김재현, 이창구, 박정안, 최낙철, 김성배*. 고온 처리된 활성알루미나를 이용한 불소 제거. 대한환경공학회지. 32(10): 986-993, 2010

⁣4. 박정안, 김성배* 김민선, 권구흥, 최낙철. 지하수위 상승 자동 이벤트 감지 알고리즘 개발. 물환경학회. 26(6): 954-962, 2010

⁣3. 이은정, 강문성*, 박정안, 최진영, 박승우.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장래 잠재증발산량 산정. 한국농공학회지. 52(5): 1-9, 2010

⁣2. 박성직, 이창구, 한용운, 박정안, 김성배*. 알루미늄·철 산화물 동시피복모래에서 Bacillus subtilis의 부착:산화음이온의 영향. 대한환경공학회지. 31(7): 515-520, 2009

⁣1. 이창구, 박성직, 김현정, 한용운, 박정안, 김성배*. 석영 및 철피복 모래에서 박테리아 부착․탈착: 이온강도의 영향. 대한환경공학회지. 31(4): 287-293, 2009